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정치부 최선 기자 나왔습니다. <br><br>Q. 단도직입적 물어보면요. 지금 이 시각 이준석 대표는 현 대표입니까, 전 대표입니까. <br><br>저도 단답형으로 말씀드리면 이준석 대표는 현 대표가 맞습니다. <br> <br>당 사무처 유권해석에 따르면 당원권이 정지되면서 대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이름만 대표인 셈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리포트에서 보셨듯이 징계 효력이 언제부터 발생하느냐를 놓고는 이 대표와 권성동 원내대표가 충돌하고 있죠. <br> <br>이 대표는 지금도 대표 권한이 있다, 징계 최종 처분권이 나에게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고, 권성동 원내대표는 대표 직무가 정지된 '사고' 상태로 자신이 당대표 직무대행이라고 말하는 겁니다. <br><br>Q. 그렇다면 이 대표 6개월 뒤면 다시 복귀할 수 있는 겁니까 <br><br>당헌·당규 해석상 대표직을 완전 박탈 당한 게 아니기 때문에 이 대표는 6개월 뒤 복귀가 가능합니다. <br><br>[권성동 / 국민의힘 원내대표] <br>"(대표가 끝까지 사퇴안하면 계속 직대 체제로 쭉?) 당원권의 정지이지 당대표로서의 신분을 상실하는 것은 아니어서 네 그렇게 해석할 수밖에 없습니다." <br><br>Q. 그러면 6개월 뒤 이준석 대표가 대표 권한을 회복해 다시 대표 역할을 하면 그때는 더 싸우는거 아닐까요? 당초 3개월 정지 얘기가 있었는데 정지 기간이 6개월로 됐어요? <br><br>여권 관계자들을 두루 취재해보니 3개월이 아닌 6개월이 된 것에는 이런저런 포석이 있었습니다. <br> <br>지금과 같은 이준석 대표의 반발을 예상해 무리하지 않고 이 대표의 힘을 빼는 이른바 '고사'에 적당한 기간이라는 겁니다. <br> <br>6개월간 직무대행 체제로 가면서 최고위원회의 구성원도 바꾸고, 전당대회 룰도 정하면서 이 대표에게 불리한 환경을 만들어 놓을 수 있습니다. <br><br>그런 뒤 이 대표가 6개월 뒤 복귀하면 남은 임기는 5개월 밖에 남지 않거든요. <br> <br>당연히 공천권 행사도 불가능하고요. <br> <br>바뀐 구도 속에서 남은 5개월 동안 이렇다 할 일을 벌이기 쉽지 않다는 거지요.<br> <br>만약 3개월 정지가 됐다면 대표 복귀 후 임기가 8개월이나 남잖아요. 이를 염두에 둔 6개월 정지다, 이런 얘기입니다. <br><br>Q. 이 대표, 오늘 새벽 결과가 나오고 아침까지는 강력 반발했는데, 오후에는 조용했어요. 다시 침묵모드에 들어간 이유도 관련이 있을까요.<br> <br>정지 기간 6개월과 무관해 보이지는 않는데요. <br> <br>직무정지 6개월, 남은 임기 5개월 속에서 이준석 대표의 선택지가 많지 않기 때문에 고심하는 것 같습니다. <br> <br>직무정지 6개월은 받아들여야 하는 분위기인데 이 기간 동안 당을 비판만 할 경우 향후 정치 행보에 큰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그렇다고 당장 받아들일 수도 없는 노릇이고요. <br> <br>다음주 초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왔는데 어디까지 대응할지 수위도 검토해야겠죠. <br><br>윤석열 대통령이 검찰총장 당시 정직 징계를 받았을 때 가처분 소송 등으로 복귀했던 것과 비슷한 상황으로 이끌 수 있다면 모르겠지만,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타격이 불가피합니다. <br> <br>또 재심을 청구해도 이번과 같은 윤리위의 판단을 받아야 하다보니 징계가 번복될 가능성은 적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> <br>이래저래 곤란한 처지가 된 것 같습니다. <br><br>Q. 그러면 오늘 2030세대를 향한 당원 가입을 촉구하기도 했잖아요. 그것도 궁지에 몰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걸까요.<br> <br>친윤계와의 여론전을 앞두고 이 대표 주요 지지층인 2030 세대, 우군 확보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SNS에서 입당을 독려하자, 2030의 입당 인증 릴레이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<br>윤석열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에서 긍정 평가를 내린 비율이 37%로 하락하면서 40%대 밑으로 떨어졌죠. <br> <br>특히 18세부터 20대의 부정 평가 응답은 2주전 30%에서 오늘 발표 43%로 늘었습니다.<br> <br>현재 2030세대의 지지를 잃고 있는 정부에 필요한 적임자임을 강조하면서, 청년 정치인이라는 자신의 상징성을 활용한 여론전에 나서고 있는 걸로 해석됩니다. <br><br>Q. 어제 윤리위 회의가 무려 8시간 동안 진행이 됐거든요. 당원권 정지 6개월이라는 중징계를 내린 결정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.<br> <br>징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건 '성상납은 없었다'는 내용의 사실확인서, 7억 투자 각서가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대가성이 없고 이 대표와 관련이 없다는 소명을 수용하기에는 이 대표가 관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겁니다. <br><br>Q. 국민의힘 분위기는 어떤가요? 오늘 오후에 긴급 최고위원들이 비공개 간담회도 열었다면서요. <br><br>오후 비공개 간담회에서도 최고위원들은 권 원내대표의 직무대행 체제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윤리위의 징계 결과에 대해서도 인정을 했다는 뜻이기도 한데요. <br> <br>이 대표가 다음주 월요일 최고위 출석을 강행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지만 대부분 최고위원들은 이 대표의 참석이 어렵다는데 의견을 모았습니다. <br> <br>아울러 같은 날 초선, 재선, 중진 의원들도 각기 모임을 갖고 의원총회까지 열 계획인데요. <br> <br>직을 수행할 수 없는 당 대표의 입지는 점점 좁아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Q. 이 대표와 국민의힘의 앞날 어떻게 될지 다음주를 지켜봐야겠군요. 최선 기자였습니다.